일상생활

2025년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사업 - 청년에게도 지원

jaemins 2025. 1. 18. 23:48
반응형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이란 사업주 및 근로자를 지원하여 청년 신규 일자리 창출을 통한 청년고용 활성화를 목적으로 지원하는 것을 말합니다.
2025년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이 확대 개편됩니다. 사업주와 근로자를 지원하여 청년 신규 일자리를 창출하고, 청년고용 활성화를 목적으로 하는 제도입니다. 빈일자리 업종(제조업·조선업·뿌리산업 등 10개 업종)의 5인 이상 중소기업이 청년을 정규직으로 신규채용하면, 기업에는 1년에 720만원의 채용장려금을, 청년에게는 근속 18개월, 24개월 차에 각각 240만원씩 총 480만원을 직접 지원하게 됩니다. 

 

2025년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지침

 

고용노동부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사업은 고용24 (http://www.work24.go.kr) 에서 25.1.23.부터 사업장 소재지를 관할하는 운영기관을 통해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이 제도는 취업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년들을 고용할 경우 2년동안 1200만원을 지원하는 정책으로 2024년에는 단일 유형만 있었고, 지원금도 기업의 사업주에게만 지원금이 지급되던 제도였습니다.

 

2025년부터는 기존의 유형이 1유형으로,  새로 2유형에서는 청년들에게도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것으로 제도가 변경되었습니다.

 

유형 1,2

 

유형 1은 취업애로청년의 취업을 촉진하고,

유형 2는  제조업 등 빈일자리 업종의 인력난 완화와 청년에게는 신규 일자리 창출 및 장기근속 지원을 목적으로 합니다.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1유형

 

1유형은 대상청년은 그대로 유지되지만 사업주 지원이 2년에 1년으로 줄어들었습니다.
2024년까지 사업주에게 지급되던 지원금 720만원(1년차) + 480만원이 2025년에는 1년동안만 지원이 되는것으로 변경되었다.

 

지원 대상​

  1. 취업 애로 계층에 해당하는 청년을 정규직으로 채용한 사업주
  2. 청년의 조건
    • 만 15세 이상 34세 이하
    • 취업 상태가 아니며, 취업 애로 계층(예: 장기 실업자, 자영업 폐업 후 첫 취업자, 고졸 이하 학력자 등)에 해당

지원 금액​

  • 1년 차 지원: 월 60만 원씩 지원. 연간 최대 720만 원 지원
  • 2년 차 인센티브(장기 고용 유도): 장기 근속(2년 이상) 시 추가 인센티브 480만 원 지급
  • 2년간 총 최대 1,200만 원 지원 가능

지원 조건

  • 고용주가 해당 청년을 최소 6개월 이상 고용 유지해야 함
  • 정규직 형태로 고용된 청년에 한해 지원.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2유형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2유형은 2025년에 신설된 유형으로,
구인난을 겪는 특정 업종 및 사업주를 지원하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1유형은 취업애로자가 대상이었다면 2유형은 빈일자리업종에 정규직으로 채용되는 모든 청년들이 대상 입니다.

 

지원 대상

  • 빈 일자리 업종에서 청년을 정규직으로 채용한 사업주.

       빈 일자리 업종이란, 인력난이 심각한 업종으로 정부에서 지정한 특정 분야를 의미함.

       (예: 제조업, 서비스업 등 고용 위기나 구인난을 겪는 업종)

청년의 조건

  • 만 15세 이상 34세 이하.
  • 취업 상태를 막론하고, 기존의 취업 애로 계층 외 청년도 포함하여 대상 확대

​지원 금액

  • 1년 차 지원: 사업주에게 월 최대 60만 원씩 지원. 연간 최대 720만 원 지원
  • 2년 차 인센티브: 청년 근로자에게 장기 근속(2년 이상) 시 추가로 480만 원 지급

​지원 조건

  • 고용된 청년이 최소 6개월 이상 근속해야 함
  • 해당 업종 내 정규직 채용을 조건으로 지원

 

지원금 신청

기업지원금은 1~3회차에 해당되는 1년분을 1년내에 모두 신청해야 하며 신청시점은 6개월 고용 유지 이후부터 3개월 단위입니다.

2유형에서 청년들이 받을 수 있는 인센티브는 근속 18개월,  24개월 이후 각각 신청해야 하며 속한 달의 다음달부터 2개월 이내에 신청을 완료해야 합니다.   만약 이 기간을 놓칠 경우는 지원금 및 인센티브를 받을 수 없습니다.

반응형